주식을 하다 보면
"배당락", "권리락"이라는 단어를 자주 듣게 됩니다.
특히 연말, 상장 기업들의 배당 시즌이 되면
이 개념을 모르면 예상치 못한 손실을 볼 수도 있어요.
오늘은 배당락과 권리락을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
깔끔하게 정리해드립니다.
✅ 배당락이란?
- 배당 받을 권리가 사라지는 날
- 배당락일 이후 주식을 사도 이번 배당을 받을 수 없습니다.
👉 배당락일 주가는 배당금만큼 떨어지는 게 일반적입니다.
예시
- 배당락 전날 주가 : 50,000원
- 배당금 : 1,000원
- 배당락일 주가(이론상) : 49,000원
👉 배당금을 받지만, 주가가 떨어지는 것까지 고려해야 합니다.
✅ 권리락이란?
- 신주(새 주식) 발행 권리가 사라지는 날입니다.
- 주로 무상증자, 유상증자, 주식배당 등과 관련 있습니다.
👉 권리락일에는 주가가 조정됩니다.
예시 (1주당 1주 무상증자)
- 권리락 전 주가 : 100,000원
- 권리락일 이후 : 주가 50,000원 + 주식 수 2배
👉 총 자산은 같지만, 주식 수가 늘고 주가가 낮아집니다.
✅ 배당락 vs 권리락 한눈에 비교
구분배당락권리락
의미 | 배당 받을 권리 사라지는 날 | 신주 받을 권리 사라지는 날 |
주가 변화 | 배당금만큼 하락 | 신주 발행 비율에 맞춰 조정 |
주요 상황 | 현금배당 시즌 (주로 연말) | 무상증자, 유상증자, 주식배당 등 |
✅ 투자 시 주의할 점
- 배당락 주가 하락 감안하고 투자 결정
- 권리락 후 주가 하락은 착시 효과 (자산 자체는 변동 없음)
- 배당금만 보고 무조건 매수하는 건 위험할 수 있음
마무리 : 날짜 하나만 알아도 투자 이해도가 달라진다
배당락, 권리락은
그 자체로 수익이거나 손실이 아닙니다.
시장 메커니즘에 따른 조정일 뿐이에요.
이제부터는
배당락이니 권리락이니 하는 말이 뉴스에 나오더라도
당황하지 않고 해석할 수 있을 겁니다.
'주식 꿀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주식 투자 성향 테스트 : 나에게 맞는 투자 스타일 찾기 (1) | 2025.04.29 |
---|---|
주식 투자 시작 전 알아야 할 5가지 기본 상식 (0) | 2025.04.29 |
경제 지표 보는 법 : 주식 투자 전에 꼭 알아야 할 것들 (1) | 2025.04.27 |
주식 초보가 꼭 알아야 할 증시 용어 20선 : 뉴스가 들리기 시작한다 (0) | 2025.04.26 |
주식 초보를 위한 포트폴리오 구성법 : 안정감 있게 시작하는 법 (1) | 2025.04.26 |